여기는 스포츠가 공용어입니다.


❝스포츠에서 유일한 것이 승리라면 이기는 그 순간 다시 경합을 벌여야겠다는 욕구는 사라질 것이다. 그렇다면 마이클 조던과 로저 클레멘스가 나이 마흔에 계속 경쟁을 벌였던 사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소크라테스 야구장에 가다' 中에서

굳이 볼카운트 2-0이 아니더라도 2스트라이크 이후는 충분히 벼랑 끝이다.

자칫 스트라이크 하나를 가만히 지켜봤다가는 '멀뚱이'라는 별명을 얻기 십상인 상황. 그렇다고 마음대로 방망이를 휘두르기에도 삼진의 부담은 여전하다.

2스트라이크 상황을 즐기는 게 좋은 타자가 되는 비결이라지만 확실히 쉬운 일은 아닌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 2007 시즌 우리 프로야구 타자들은 실제로 2스트라이크 이후에 .197/.278/.271밖에 때려내지 못했다.

GPA로 환산했을 때 .193밖에 되지 않는 수치. 이는 리그 평균(.248)보다 55포인트나 낮다.

확실히 2번째 스트라이크를 얻게 되면 타자에게 유리하다는 점이 증명된 셈이다.

이런 부담은 리그 최고의 거포로 손꼽히는 이대호에게도 예외는 아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대호는 시즌 평균 .335/.454/.600을 때려냈지만 2스트라이크 이후에는 .233/.366/.433에 그쳤다. GPA로 환산했을 때 .273의 기록.

이대호의 성적이라기엔 아쉬운 게 사실이지만 이보다 뛰어난 기록을 올린 선수는 없다.

이대호가 2스트라이크 이후에도 그나마 준수한 성적을 올릴 수 있었던 원동력은 역시 장타력. 이 상황에서 기록한 장타율 .433 역시 리그 최고 기록이다.

이를 해석하자면 어차피 맞는 건 한방이라는 생각에 투수들이 쉽사리 승부하기 어려웠다고 볼 수 있다.

덕분에 타율은 .233으로 낮았지만 공동 2위권인 출루율 .366를 기록할 수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투수들이 진짜 무서워해야 할 선수는 따로 있었다. 한화 이범호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이범호는 전체 21개의 홈런 가운데 절반이 넘는 11개를 2스트라이크 이후에 때려냈다.

타자의 순수한 파워를 측정하는 IsoP 역시 .212로 이대호(.200)를 뛰어넘어 최고 기록이다.

그런데 사실 이 두 선수는 모두 2할대 초반의 타율을 벗어나지 못했다. 방망이에 걸리면 투수에게 공포 그 자체였지만 그 확률은 낮았다는 뜻이다.

그럼 어떤 선수가 정확도라는 측면에서 가장 좋은 모습을 보였을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2스트라이크 이후에 .270 이상의 타율을 올린 선수는 이종열(.276), 이현곤(.275), 박한이(.271)뿐이다.

이 가운데 삼진당 타수가 가장 적은 선수는 타율 1위에 빛나는 이현곤(3.64)이다.

BABIP 역시 .375로 이현곤이 세 선수 가운데 가장 높다.

그러니까 2스트라이크 이후에 가장 정교한 선수는 역시 이현곤이었던 셈이다.

혹은  2스트라이크 이후에도 안정적인 어프로치를 유지했기에 이현곤이 타율 1위를 차지할 수 있었다고 말해도 좋을 것 같다.

대표적인 메이저리그 교타자 토니 그윈이 강조했던 것처럼 말이다.


댓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