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스포츠가 공용어입니다.


❝스포츠에서 유일한 것이 승리라면 이기는 그 순간 다시 경합을 벌여야겠다는 욕구는 사라질 것이다. 그렇다면 마이클 조던과 로저 클레멘스가 나이 마흔에 계속 경쟁을 벌였던 사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소크라테스 야구장에 가다' 中에서

OPS = 출루율 + 장타력

요즘 야구 중계나 기사를 보다 보면 OPS라는 표현이 자주 등장합니다. 보통 '출루율+장타력(장타율)'이라는 표현과 함께 말입니다. 그리고 세이버메트릭스라는 낱말도 따라옵니다. 도대체 OPS라는 녀석은 정체가 뭘까요?

 

OPS는 대단한 약자가 아닙니다. 그저 'On-Base Plus Slugging'에서 머리글자만 따 부르는 말입니다. 그러니까 '출루율+장타력'하고 100% 똑같은 표현일 뿐입니다. 계산법도 그저 출루율하고 장타력을 더하기만 하면 그만입니다. 이렇게 통계학을 비롯해 과학에서 쓰는 기법을 동원해 야구를 분석하는 걸 세이버메트릭스라고 부르는 것이고 말입니다.

 

그렇다면 출루율하고 장타력은 어떻게 구할까요? 두 지표를 계산하는 공식은 일단 아래와 같습니다. 그러니까 타자가 살아 나간다고 무조건 출루율이 올라가는 건 아니고, 전체 안타 중에 장타가 차지하는 비율이 장타율이 아닌 겁니다.

 

그래서 이 블로그에서는 지난해부터 장타율 대신 장타력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몇 루타를 기록했는지 따지는 기록이니까요.

 

이렇게 계산한 값을 단순히 더하면 OPS가 됩니다. 지금은 더하기가 기본이 됐지만 이 둘을 곱하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또 OPS라는 말 대신 생산력(production)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이 공식과 표현을 널리 쓰는 만큼 그냥 OPS라고 불러주고 두 값을 더하면 됩니다.

 

 

OPS 범위 기준

 구분  기준 OPS
 A+  1.000
 A  .950
 B  .850
 C  .770
 D  .666
 F  그 이하

타율은 보통 .300이 넘어야 잘 친다고 합니다. 그러면 OPS는 어느 정도 쳐야 이 정도 평가를 받을 수 있을까요? 프로 원년부터 지난해까지 규정타석을 채운 1243명 중에서 30.9%(384명)가 '3할 타자'였습니다. 그렇게 계산하면 OPS .850이 3할 타자 수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규정 타석을 채운 타자 기록을 OPS로 바꾸면 .425~1.237 사이가 나옵니다. 최저 기록 .425는 1986년 청보 권두조, 최고 OPS 1.237은 1982년 MBC(현 LG) 백인천이 남긴 기록입니다. 433 경기 연속 출장 기록을 가지고 있는 '희생번트왕' 권두조는 방망이보다 수비로 이야기하는 선수였고, 백인천은 일본 프로야구에서 곧바로 건너 온 예외 케이스였습니다.

 

이렇게 극단적인 값을 제외하면 타자들 OPS는 보통 .700~.875 사이로 나타납니다. 같은 기간 프로야구 전체 평균 OPS는 .726이었습니다. 그래서 맨 앞 숫자만 따서 대학 학점처럼 6(D), 7(C), 8(B), 9(A)로 알고 계시면 좋습니다. 아니면 그냥 60점, 70점, 80점, 90점이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조금 더 엄밀하게 알고 싶으신 분은 백분위(percentile)를 쓰셔도 좋습니다. 앞에 있는 표는 각 하위 10%, 45%, 80%, 95%, 5%를 기준으로 레벨을 구분한 값입니다. 대학에서 상대 평가로 학점을 매길 때 A학점 20%, B학점 35%, C학점 35%, D학점 10%를 기준으로 삼는 걸 따라한 결과입니다.

 

프로원년(1982년)부터 지난해까지 32년 동안 규정타석을 채운 1243명 중에서 OPS 1.000 이상은 61명이었습니다. 한 해 두 명도 나오지 않았던 셈입니다. 그런데 올해는 투고타저 영향(리그 평균 OPS .813)으로 29일 현재 8명이 이 기준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이럴 때는 숫자를 조금 올려서 보시는 게 좋습니다. 그러니까 이 기준이 아주 절대적인 건 아니라는 말씀입니다. 3할 기준도 해마다 다른 것처럼 말입니다.

 

 

OPS가 중요한 이유

그런데 이렇게 단순하게 계산한 값이 무슨 의미가 있는 걸까요? 사실 천천히 생각해 보면 공격에서 OPS가 중요한 건 너무도 당연한 일입니다. 타자가 점수를 내려면 일단 살아나가야 하고(출루율), 기왕이면 한 베이스라도 더 가는 게 좋습니다(장타력). 이를 더했으니 당연히 득점에 많이 공헌하는 타자를 알 수 있게 됩니다.

 

두 변수 사이에 '설명력'을 알려주는 'R 제곱값'을 봐도 그렇습니다. OPS하고 팀 득점 사이 R 제곱값을 계산해 보면 .9033이 나오는데요, 이는 OPS가 팀 득점 차이 가운데 90.33%를 설명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이 정도면 통계적으로 상당히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2006/04/17 - [Sabermetrics] - GPA? 혹은 타율의 허상

 

사실 이건 타율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같은 식으로 계산해 보면 타율은 이 값이 .7328밖에 되지 않습니다. 출루율(.7920)이나 장타력(.8471)보다도 낮은 기록입니다. OPS라는 걸 발견해내지 못했다면 모르겠지만 이미 알고 있는데 이 기록을 쓰지 않을 이유가 없는 겁니다.

 

게다가 출루율, 장타력 같은 기록은 직접 계산하지 않아도 금방 찾을 수 있습니다. 그저 두 값을 더하기만 하니 그걸 '계산'이라고 부르기도 뭐합니다. 아니, 아예 한국야구위원회(KBO) 홈페이지에서 선수들 OPS 순위까지 조회해 볼 수 있습니다. 확실히 이제 한국에서도 OPS는 대중적인 세이버메트릭스 지표가 된 겁니다.

 

그렇다고 OPS가 만능이라는 건 아닙니다. 제가 예전에 쓴 기사에서 인용하면 "OPS는 빠른 발이나 '클러치 능력'(찬스에 강한 능력) 같은 요소는 평가하지 못하고, 출루율과 장타력을 일대일로 더하는 게 정확한 계산법이 아니라는 지적도 많습니다. 그러나 타율, 타점, 홈런보다는 OPS가 더 '섹시한' 기록입니다."

 



댓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