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엔 너무도 보편화돼 있는지라 모르시는 분이 안 계시겠지만, OPS라는 지표가 이렇게 널리 쓰이게 된 건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닙니다. 심지어 출루율이라는 개념도 생각만큼 오래되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급속도로 타자를 평가하는 데 있어 OPS라는 개념이 널리 확산되게 된 건, 이것이 상당히 손쉽게 빠르게 그러면서도 비교적 정확하게 타자들의 능력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야구의 기본 원리와 그 궤를 같이 합니다. 야구라는 경기의 궁극적인 목적을 승리를 거두는 것입니다. 그리고 승리를 거두기 위해서는 상대팀보다 많은 득점을 올려야 합니다. 1) 득점을 올리기 위해서는 일단 루상에 나갈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고, 마찬가지로 2) 루상에 있는 주자를 불러들일 수 있는 능력 역시 요구됩니다. 1)에 해당되는 지표가 바로 출루율이고, 2)에 해당되는 것이 장타율입니다. 이것이 OPS의 기본 원리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말 그대로, Production이라는 측면에서 접근을 시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OBP + SLG를 1:1로 직접 더하는 것이 과연 올바른 접근이냐 하는 것에 대해서는 논란의 소지가 있습니다. 실제로 명문관에서 제가 읽게 된 batmanOT 님의 출루율에 관한 소고를 보시면 batmanOT 님께서 예로 드신 상황을 볼 때, 장타율보다 출루율이 높은 편이 팀 전체 득점이라는 측면에서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글에 코멘트로 ilovehdu 님이 지적해 주신 바와 같이, batmanOT 님의 상황 설정은 다소 극단적인 면이 있습니다. 제가 한 국내 MLB 사이트에서의 논쟁을 지켜본 기억에 의하면, 장타율이 팀 득점에 도움이 되는 상황도 가정할 수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말하자면,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지표가 좀더 많은 가중치를 부여받을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이런 모든 가능성을 검토해 본 결과, 출루율이 보다 중요한 가능성을 가진다고 밝혀진 것도 사실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 속에서 등장한 새로운 스탯이 바로 GPA입니다. (떳다 동화 님께서 링크해 주신 기사 김재현, 통계로 본 ‘2005 시즌 최고 타자’를 보시면 GPA에 대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저처럼 잘 모르시는 분이 계실까봐, 한번 짚고 넘어 가 보면, OPS는 On Base plus Slugging Percentage의 약자이고, GPA는 Gross Production Average 혹은 만든 사람의 이름을 따서 Gleeman Production Average의 약자입니다.)
말하자면, GPA는 OPS의 변이형인 셈입니다. 산출하는 공식 또한 매우 간단합니다. (1.8 * OBP + SLG)/4 이게 전부입니다. SLG에 비해 OBP가 80%정도 더 중요하다는 기본 전제 하에 이 둘을 더하고, 타율과 같은 범위의 값을 갖도록 조정하기 위해 4로 나눕니다. 이게 끝입니다. OPS보다 조금 귀찮기는 하지만, 다른 많은 공식에 비해 아주 간단하고 그러면서도 좀더 나은 정확도를 자랑하는 지켜 볼만한 스탯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런데 혹시 궁금하시지 않으십니까? 왜 1.8일까? 사실 GPA라는 스탯을 최종적으로 이름 붙인 사람은 Aaron Gleeman이지만, 이러한 발상의 기초를 마련한 사람은 Tangotiger라고 알려진 인물입니다. 이 Tangotiger라는 인물이 각 상황별로 OBP에 가중치를 줘본 결과 1.5 ~ 2.0 사이의 가중치를 가질 때 실제 결과물과 부합하다는 OPS:BE Gone!이라는 제목의 글을 썼습니다. (링크가 돼 있습니다만, 이를 따라 가면 욕이 나온다는 사실을 미리 밝혀드리겠습니다.) 이후 이러한 접근을 보다 심도 있게 접근해 본 결과 1.7~2.0일 때 보다 정확하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이런 결과를 본 Gleenman이라는 사람이 OBP에 1.7을 붙여 ABB#(Aaron's Baseball Blog Number)라는 수치를 만들어 자기 블로그에 올립니다. 그런데 이런 수치는 확 와닿지가 않습니다. 그래서 이를 4로 나누어 타율처럼 받아들이기 쉬운 범위로 환산해 주는 겁니다. 타율이 3할이다, 2할 5푼이다 하는 말이 야구팬들에게 좀더 익숙하다는 점에서 착안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경우 OBP에 가중치 1.8을 줄 때, 타율과 좀더 비슷한 성향을 드러낸다는 점을 발견, 1.8을 선택하게 된 것입니다. 그래서 1.8입니다. 그러니까 사실 중요한 아이디어는 Tangotiger가 1.7 - 2.0이라는 범위를 제시한 것이었다고 하겠습니다.
그럼 또 궁금하지 않으십니까? 정말 OPS가, GPA가 타자의 능력을 평가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준이 되는 걸까? 엑셀 양이 그림 그리는 걸 하루 쉬자는 취지에서 그래프 없이 넘어 가자면, 프로원년부터 2004 시즌까지 경기당 평균 득점과 각 지표간의 R-Square 값은 아래와 같습니다.
OPS : .9075
GPA : .9110
OPS + : 0.9266
가장 정확한 값은 OPS+입니다. OPS+는 해당 시즌 리그 OPS 값과의 관계를 통해 알아본 상대적 OPS 값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세한 차이라고 보실지 모르겠지만, OPS+가 가장 정확합니다. 하지만 OPS+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리그 OPS'라는 추가 정보를 필요로 하게 됩니다. 반면 OPS나 GPA는 해당 선수의 OBP, SLG 이외에 추가로 필요한 정보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 둘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자면, GPA가 좀더 정확하게 실제 플레이를 반영한다고 하겠습니다.
그럼 어제 현재까지 우리 선수들의 GPA는 어땠을까요? 좀 다르게 평가해 보겠습니다. Gleeman Production Average가 아닌 Grade Points Average. 우리가 대학에서 받는 바로 그거 말입니다. 제가 졸업한 대학은 GPA 만점이 4.3인 (-) 학점이 있는 시스템이었습니다. 그 기준에 맞춰 한번 선수들의 GPA를 매겨 보도록 하겠습니다.
구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1) 선수들의 GPA를 계산합니다. (1.8*OBP+SLG)/4 2) 이렇게 나온 GPA에 12.95를 곱합니다. 이 숫자를 곱한 데는 아무런 까닭도 없습니다. GPA 1위인 서튼 선수의 .332를 4.30으로 바꿔주기 위해 곱한 숫자일뿐입니다. 3) 각각의 GPA에 맞는 학점을 부과해 줍니다. 다음은 네이버에서 출루율/장타율 각각 상위 30걸에 속한 선수들의 학점입니다.
서튼, 김재현, 데이비스 선수 장학금 줘야겠네요. ^^ 여러분이 좋아하시는 선수를 따로 계산해 보고 싶으시면, 위의 과정을 따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다시 한번, 미안합니다, 친철한 서튼氏, 우리 정말 디펜딩 챔피언 맞다니까요 ㅠㅠ
이는 야구의 기본 원리와 그 궤를 같이 합니다. 야구라는 경기의 궁극적인 목적을 승리를 거두는 것입니다. 그리고 승리를 거두기 위해서는 상대팀보다 많은 득점을 올려야 합니다. 1) 득점을 올리기 위해서는 일단 루상에 나갈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고, 마찬가지로 2) 루상에 있는 주자를 불러들일 수 있는 능력 역시 요구됩니다. 1)에 해당되는 지표가 바로 출루율이고, 2)에 해당되는 것이 장타율입니다. 이것이 OPS의 기본 원리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말 그대로, Production이라는 측면에서 접근을 시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OBP + SLG를 1:1로 직접 더하는 것이 과연 올바른 접근이냐 하는 것에 대해서는 논란의 소지가 있습니다. 실제로 명문관에서 제가 읽게 된 batmanOT 님의 출루율에 관한 소고를 보시면 batmanOT 님께서 예로 드신 상황을 볼 때, 장타율보다 출루율이 높은 편이 팀 전체 득점이라는 측면에서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글에 코멘트로 ilovehdu 님이 지적해 주신 바와 같이, batmanOT 님의 상황 설정은 다소 극단적인 면이 있습니다. 제가 한 국내 MLB 사이트에서의 논쟁을 지켜본 기억에 의하면, 장타율이 팀 득점에 도움이 되는 상황도 가정할 수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말하자면,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지표가 좀더 많은 가중치를 부여받을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이런 모든 가능성을 검토해 본 결과, 출루율이 보다 중요한 가능성을 가진다고 밝혀진 것도 사실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 속에서 등장한 새로운 스탯이 바로 GPA입니다. (떳다 동화 님께서 링크해 주신 기사 김재현, 통계로 본 ‘2005 시즌 최고 타자’를 보시면 GPA에 대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저처럼 잘 모르시는 분이 계실까봐, 한번 짚고 넘어 가 보면, OPS는 On Base plus Slugging Percentage의 약자이고, GPA는 Gross Production Average 혹은 만든 사람의 이름을 따서 Gleeman Production Average의 약자입니다.)
말하자면, GPA는 OPS의 변이형인 셈입니다. 산출하는 공식 또한 매우 간단합니다. (1.8 * OBP + SLG)/4 이게 전부입니다. SLG에 비해 OBP가 80%정도 더 중요하다는 기본 전제 하에 이 둘을 더하고, 타율과 같은 범위의 값을 갖도록 조정하기 위해 4로 나눕니다. 이게 끝입니다. OPS보다 조금 귀찮기는 하지만, 다른 많은 공식에 비해 아주 간단하고 그러면서도 좀더 나은 정확도를 자랑하는 지켜 볼만한 스탯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런데 혹시 궁금하시지 않으십니까? 왜 1.8일까? 사실 GPA라는 스탯을 최종적으로 이름 붙인 사람은 Aaron Gleeman이지만, 이러한 발상의 기초를 마련한 사람은 Tangotiger라고 알려진 인물입니다. 이 Tangotiger라는 인물이 각 상황별로 OBP에 가중치를 줘본 결과 1.5 ~ 2.0 사이의 가중치를 가질 때 실제 결과물과 부합하다는 OPS:BE Gone!이라는 제목의 글을 썼습니다. (링크가 돼 있습니다만, 이를 따라 가면 욕이 나온다는 사실을 미리 밝혀드리겠습니다.) 이후 이러한 접근을 보다 심도 있게 접근해 본 결과 1.7~2.0일 때 보다 정확하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이런 결과를 본 Gleenman이라는 사람이 OBP에 1.7을 붙여 ABB#(Aaron's Baseball Blog Number)라는 수치를 만들어 자기 블로그에 올립니다. 그런데 이런 수치는 확 와닿지가 않습니다. 그래서 이를 4로 나누어 타율처럼 받아들이기 쉬운 범위로 환산해 주는 겁니다. 타율이 3할이다, 2할 5푼이다 하는 말이 야구팬들에게 좀더 익숙하다는 점에서 착안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경우 OBP에 가중치 1.8을 줄 때, 타율과 좀더 비슷한 성향을 드러낸다는 점을 발견, 1.8을 선택하게 된 것입니다. 그래서 1.8입니다. 그러니까 사실 중요한 아이디어는 Tangotiger가 1.7 - 2.0이라는 범위를 제시한 것이었다고 하겠습니다.
그럼 또 궁금하지 않으십니까? 정말 OPS가, GPA가 타자의 능력을 평가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준이 되는 걸까? 엑셀 양이 그림 그리는 걸 하루 쉬자는 취지에서 그래프 없이 넘어 가자면, 프로원년부터 2004 시즌까지 경기당 평균 득점과 각 지표간의 R-Square 값은 아래와 같습니다.
OPS : .9075
GPA : .9110
OPS + : 0.9266
가장 정확한 값은 OPS+입니다. OPS+는 해당 시즌 리그 OPS 값과의 관계를 통해 알아본 상대적 OPS 값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세한 차이라고 보실지 모르겠지만, OPS+가 가장 정확합니다. 하지만 OPS+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리그 OPS'라는 추가 정보를 필요로 하게 됩니다. 반면 OPS나 GPA는 해당 선수의 OBP, SLG 이외에 추가로 필요한 정보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 둘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자면, GPA가 좀더 정확하게 실제 플레이를 반영한다고 하겠습니다.
그럼 어제 현재까지 우리 선수들의 GPA는 어땠을까요? 좀 다르게 평가해 보겠습니다. Gleeman Production Average가 아닌 Grade Points Average. 우리가 대학에서 받는 바로 그거 말입니다. 제가 졸업한 대학은 GPA 만점이 4.3인 (-) 학점이 있는 시스템이었습니다. 그 기준에 맞춰 한번 선수들의 GPA를 매겨 보도록 하겠습니다.
구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1) 선수들의 GPA를 계산합니다. (1.8*OBP+SLG)/4 2) 이렇게 나온 GPA에 12.95를 곱합니다. 이 숫자를 곱한 데는 아무런 까닭도 없습니다. GPA 1위인 서튼 선수의 .332를 4.30으로 바꿔주기 위해 곱한 숫자일뿐입니다. 3) 각각의 GPA에 맞는 학점을 부과해 줍니다. 다음은 네이버에서 출루율/장타율 각각 상위 30걸에 속한 선수들의 학점입니다.
서튼, 김재현, 데이비스 선수 장학금 줘야겠네요. ^^ 여러분이 좋아하시는 선수를 따로 계산해 보고 싶으시면, 위의 과정을 따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다시 한번, 미안합니다, 친철한 서튼氏, 우리 정말 디펜딩 챔피언 맞다니까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