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스포츠가 공용어입니다.


❝스포츠에서 유일한 것이 승리라면 이기는 그 순간 다시 경합을 벌여야겠다는 욕구는 사라질 것이다. 그렇다면 마이클 조던과 로저 클레멘스가 나이 마흔에 계속 경쟁을 벌였던 사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소크라테스 야구장에 가다' 中에서

아이콘을 클릭해 RSS를 구독해 보세요 -_-)/ ▶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박찬호 선수가 2008 시즌 선발로 첫 등판한 기념으로 PFX에 대해 간략히 소개해 드린 적이 있습니다. 그때 마지막 문장에 '원한다면 초속과 총속의 차이를 알아볼 수 있고 공의 회전수 역시 구할 수 있다'고 썼습니다.

이번에는 암을 이기고 멋지게 돌아와 노히트 노런을 달성한 20일 존 레스터의 기록을 가지고 한번 PFX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레스터는 총 133개를 투구했지만 중간에 12개에 대한 PFX 정보가 기록되지 않아 생략했습니다.)

먼저 구속 ;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라면 소위 오프스피드 피치를 적절하게 사용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구속 조절을 통해 템포를 맞춰 나간다는 사실이 확실히 구분되고 있습니다.

또 한 가지 재미있는 건 경기 막판이 되면 오프스피드 피치가 줄어들었다는 거죠. 노히터 노런이 코 앞이라 마음이 급했던 걸까요? ^^;
 
구속 데이터가 있으면 이미 구종과 로케이션에 대한 정보도 알고 있기 때문에 원한다면 어떤 구종을 어떤 코스에 어떤 스피드로 넣었는지 또 그 패턴은 어떤지 당연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현재 게임데이에서 그 내용을 제공하고 있기도 하죠.

이어서 릴리스 포인트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실 PFX에서 릴리스 포인트는 엄밀한 의미에서 보자면 릴리스 포인트를 측정하고 있지는 못합니다. 홈플레이트에서 50피트 떨어진 위치에서 공이 지나고 이는 지점을 표시하고 있는 거죠.

여기서 재미있는 게 레스터도 그렇고 보통 선수들은 저렇게 릴리스 포인트가 한 지점에 표시됩니다. 레스터는 왼손 투수라 왼쪽에 표시되고, 박찬호 선수 같은 경우에는 오른쪽에 한 덩어리로 표시되겠죠.

그런데 마이크 무시나처럼 구종에 따라 팔 각도를 바꾸는 선수들은 여러 지점에 찍힙니다. 역시 구종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기 때문에 어떤 공을 던질 때 어떤 팔각도를 사용하는지 알 수 있게 되는 거죠.

또 나이가 들면 팔이 내려간다고 하는데 몇 년 누적된 데이터가 있으면 그 역시 실제로 비교할 수 있을 겁니다.


마지막으로 공의 회전수 ;

사용자 삽입 이미지

y축에 RPM으로 환산된 공의 회전수를 넣고 오른쪽에 회전각을 넣은 그래프입니다. 지난 번에는 상하좌우 변화에 따라 구종을 구분했는데요, 이 그림을 가지고도 크게 네 가지 종류의 구종을 구사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의 회전수를 구한 김에 '회전수가 많으면 초속과 종속의 차이가 적다'는 명제에 대해 생각해 봤습니다. 일단 속구에 대해서만 알아보면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공의 회전수와 '초속과 종속의 차이'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만약 이 데이터가 모두 신뢰할 만하다면 회전이 많으면 오히려 '초속과 종속의 차이가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단은 이렇게 해석하는 게 옳아 보이는데 좀 더 고민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어떻습니까? PFX 정말 굉장한 도구라고 생각하지 않으십니까?




댓글,

더 보기